enppy.com 성학집요(聖學輯要) > enppy8 | enppy.com report

성학집요(聖學輯要) > enppy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enppy8

성학집요(聖學輯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20:23

본문




Download : 성학집요(聖學輯要).hwp





제1편 통설(統說)은 <대학(大學)>과 <중용(中庸)> 수장(首章)의 설을 인용하여 수기와 치인(治人)을 합하여 말하고 <대학>의 명명덕(明明德)·신민(新民)·지어지선(止於至善)을 개관하였다.

Download : 성학집요(聖學輯要).hwp( 48 )



성학집요(聖學輯要)_hwp_01.gif 성학집요(聖學輯要)_hwp_02.gif 성학집요(聖學輯要)_hwp_03.gif 성학집요(聖學輯要)_hwp_04.gif
,기타,레포트


성학집요
순서
성학집요저술의 시대적배경과 구성체계 내용 가치와 의의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성학집요 , 성학집요(聖學輯要)기타레포트 ,
1. 성학집요(聖學輯要)란?
2. 저자의 생애
3. <성학집요>저술의 시대적 배경
4. <성학집요>의 구성체계
5. <성학집요>의 내용
6. <성학집요>의 가치와 의의
*율곡전서(栗谷全書)


앞서 보았듯이 서문에 의하면 <성학집요>는 사서(四書)와 육경(六經)에 씌어 있는 도(道)의 개략을 추출하여 간략하게 정리(arrangement)한 것이라고 한다.
제2편 수기(修己)는 <대학>의 명덕을 밝힌 것으로서, 1장∼3장은 방향을 정해서 흩어진 마음을 구하여 <대학>의 기본을 세운 것이다.

다. 사서육경은 너무 방대해 거기에서 도를 구하고자 한다면 길을 잃기 십상일 것이므로 그 중에서 point을 추출하고 한데 엮어 놓음으로써 도를 향해 가는 길을 밝히고자 했다는 것이다. 4장의 궁리는 격물치지(格物致知)이고, 5장∼8장은 성의정심(誠意正心)이며, 9장의 검신은 수신(修身)이고, 10장∼12장은 성의·정심·수신의 여온(餘蘊)을 논한 것이며, 13장은 그 공효를 논한 것으로 수기를 지선…(skip)
설명

레포트/기타






성학집요(聖學輯要)





성학집요저술의 시대적배경과 구성체계 내용 가치와 의의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전체 7,61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enppy.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