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의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22:02본문
Download : 3·15의거.hwp
3·15마산의거와 10·18부마민주항쟁의 경우도 그다지 예외는 아니다.
Download : 3·15의거.hwp( 99 )
3·15의거
3·15마산의거가 올해로 40주년을 맞았다.
민중의 반대편에서 독재정권의 하수인을 자청해 온갖 토착비리를 양산하고 부정선거에 앞장섰던 토호세력들은 그 후 어떻게 됐는가.
시위군중을 용공으로 매도하고 강경진압을 부추긴 그 수많은 인사들은 과연 history의 심판을 받았는가. 독재정권의 나팔수가 되어 국민을 현혹한 일부 문인과 언론인은 또 어떻게 됐는가. 피해자가 있다면 가해자도 있게 마련이다.
그 결과 해방 후 우리의 history는 일제의 앞잡이가 되어 국민을 징용,징병,위안부란 이름으로 사지에 몰아넣었던 도둑놈이 오히려 안방을 차지하고 앉아 주인행세를 하고, 정작 주인은 문간방으로 밀려…(skip)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3·15의거
3·15의거
3·15의거 3·15의거 , 3·15의거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다. 그러나 우리는 그동안 이들 history의 가해자를 색출하는 작업에 소홀했음을 인정해야 한다. 흔히 자랑스런 history를 기념하고 추켜세우는 경우는 볼 수 있지만 history의 죄인들을 가려내 단죄하는 일은 극히 드물다. 이는 해방 후 친일파 청산에 실패한 데서부터 비롯된다 우리의 이승만 정권은 반민특위를 강제해산하고 친일파를 대거 등용해 자신의 정치적 기반으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