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절차의 중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22:30본문
Download : 민사소송절차의 중단_5042620.hwp
민사소송절차 중단의 사유와 예외,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민사소송절차의중단 , 민사소송절차의 중단법학행정레포트 ,
Ⅰ. 들어가며
Ⅱ. 소송절차 중단의 사유
Ⅲ. 중단의 예외(소송대리인의 문제)
Ⅳ. 중단의 해소
Ⅴ. 소송절차 중단의 효능
Ⅰ. 들어가며
1. 의의
소송절차의 중단이라 함은 소송이 계속된 뒤에 아직 절차가 종료되기 전에, 당사자나 소송행위자에게 소송수행할 수 없는 사유가 발생하였을 경우 새로운 소송수행자가 나타나 소송에 관여할 수 있을 때까지 법률상 당연히 절차의 진행이 정지되는 것을 말한다.
중…(To be continued )
설명
민사소송절차의중단
다.
2. 취지
한쪽 당사자의 사망, 법인의 합병, 법정대리권의 소멸 등의 사유가 생겨 소송행위가 불가능하게 될 때에도 법원이 그대로 소송절차를 진행시키면 그 당사자가 소송에 관여할 수 없게 됨으로써 당사자권이 침해되어 쌍방심리(문)주의에 반하게 되기 때문일것이다
Ⅱ. 소송절차 중단의 사유
1. 당사자의 사망(제233조)
당사자의 사망으로 소송절차가 중단되기 위해서는 ① 소송계속 후 변론종결 전에 당사자가 죽었을 것, ② 소송계속 후에 죽었어도 상속인이 있을 것, ③ 소송물인 권리의무가 상속의 대상이 되는 것일 것(일신전속적인 권리가 아닐 것) 등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민사소송절차의 중단_5042620.hwp( 96 )
순서
민사소송절차의 중단
민사소송절차 중단의 사유와 예외, effect에 관련되어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