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문법,어기사와 어두 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의 어기 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 반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3:31
본문
Download : 한문문법,어기사와 어두 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의 어기 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 반문.pptx
鈞,三十斤. (孟子, 文公下, 1章, 朱子註) 義見下文. (孟子, 公孫丑下, 10章, 朱子註)
也가 의문/명령/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에 와도그것은 의문/명령/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사가 아니며의문문/명령문/감탄문에 사용된 也는 확정, 긍정, 판단의 어기를 나타낸다. (이강재)
어기란 문장의 개념(槪念)component이 아니면서 화자의 정서적 입장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레포트/인문사회
한문문법,어기사와,어두,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어기,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반문,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한문문법,어기사와 어두 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의 어기 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 반문
_SLIDE_1_
한문문법 어기사와 어두, 어미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_SLIDE_2_
우리가 표현하는 모든 문장은 일정한 어기(mood)를 가지고 있다 중국(China)어는 다른 언어와는 달리 동사의 형태 변화 없이 어기사를 사용함으로써 일정한 어기(mood)를 나타낸다.
(1) 也
_SLIDE_7_
항상 제일 끝 절의 문미에 쓰여 전체 문장의 …(투비컨티뉴드 )
순서
한문문법,어기사와 어두 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의 어기 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 반문 , 한문문법,어기사와 어두 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의 어기 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 반문인문사회레포트 , 한문문법 어기사와 어두 어미 어기사란 문미어기사 시비의문문 선택의문문 의문사의문문 반문 어기 표시 반문문이란 관용적 반문
Download : 한문문법,어기사와 어두 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의 어기 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 반문.pptx( 45 )
한문문법,어기사와 어두 어미,어기사란,문미어기사,시비의문문,선택의문문,의문사의문문,반문의 어기 표시,반문문이란,관용적 반문
다. (허성도)
어기사란
_SLIDE_3_
어기에 따른 문장유형의 분류
_SLIDE_4_
진술문
也
∥
矣
∧
已, 耳, 爾, 而已
판단의 어기
주관적 추측이나 사태의 변화
한정이 어기
의문문
與(歟)
∧
乎
약한 의문의 어기
강한 의문의 어기
감탄문
夫
∧
哉
약한 감탄의 어기
강한 감탄의 어기
명령문
일반적으로 명령의 어기는 문장의 어순에 의해 나타내며, 독립적으로 명령의 어기만을 나타내는 어기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미어기사의 기본 기능과 어기에 따른 문장유형의 분류
_SLIDE_5_
전체 문장의 가장 뒤에 놓여, 그 문장의 특정한 어기를 나타냄
각 어기사의 본래 기능과 문맥에 따른 문장 내에서의 기능을 구별해야 함
也, 矣, 乎, 哉
문미어기사
_SLIDE_6_
판단문에서 서술어가 판단을 나타내는 것을 도와줌
판단이란- 외부세계에 대한 자아적 인식(자아가 개입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이 주관적 인식으로 변해 있는 경우)- 화자의 소견이나 주장이 대표적
따라서 객관적 사실을 서술하는 경우에는 판단이 개입할 여지가 없으므로 也가 쓰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