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세계의 공장`서 `세계의 연구소`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6:26
본문
Download : 20070411.jpg
MS는 최근 기초 연구를 담당하는 마이크로소프트리서치의 베이징 거점 R&D 인력을 300명으로 늘렸다.
명승욱기자@전자신문, swmay@
China내 R&D 인원이 1000명에 달하는 히타치제작소는 기초 연구를 담당하는 연구개발본부 직속 베이징 R&D센터 인력을 오는 2010년까지 현재의 2.5배로 증원할 계획이다.
설명





中, `세계의 공장`서 `세계의 연구소`로
中, `세계의 공장`서 `세계의 연구소`로
레포트 > 기타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델·시만텍·히타치제작소·도요타자동차·닛산자동차·도레이·후지쯔·옴론 등 글로벌 기업들은 China에서 기초 연구뿐 아니라 세계화 전술 제품까지를 개발한다는 구상 아래 현지 IT인력 채용을 늘리고 있다
이에 따라 China내 외국기업들의 R&D센터 숫자도 급증하고 있다 상하이의 지난해 말 기준 R&D센터는 196여 곳에 달해 매월 2∼3곳이 증가하는 추세다.中, `세계의 공장`서 `세계의 연구소`로
순서
이처럼 기업들이 China 내 R&D를 강화하는 배경에는 이공계 인재층이 다른 나라에 비해 두텁고 낮은 임금의 노동력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글로벌 기업들은 ‘R&D 효율화’와 ‘원가 절감’을 위해 China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향후 경쟁력을 좌우하는 열쇠라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는 시애틀 근교 레이먼드 본사 연구인력 약 330명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China에서의 R&D 활동에는 ‘지식재산권’ 보호에 대한 정비가 부족해 기술 유출이나 복제품 문제가 큰 변수로 지적된다. 닛산자동차도 광둥성 R&D센터 인원을 320명으로 확충한다.
Download : 20070411.jpg( 60 )
델의 경우 China에서 개발한 제품을 세계시장에 쏟아내고 있다 지난해 상하이 R&D 거점 인력을 기존 250명에서 500명으로 늘려 여기서 개발한 저가 PC를 ‘신흥 시장용 전술상품’으로 출시했다. 상하이미국상공회의소가 조사한 China 내 사업상 애로사항 중 10%로 가장 많았던 분야가 ‘지재권 침해’였다.
미국·유럽·일본의 대기업들이 China을 글로벌 연구개발(R&D) 거점으로 삼고 IT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서면서 China이 ‘세계의 공장’에서 일약 ‘세계의 연구소’로 탈바꿈하고 있다
中, `세계의 공장`서 `세계의 연구소`로
다. 기업들이 China에 투자하는 R&D 예산도 늘어나 네덜란드 필립스의 경우 연간 4000만유로(약 500억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