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E.H.Erikson]의 심리 사회학적 발달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1:40
본문
Download : 에릭슨[E.H.Erikson]의 심리.hwp
제 1단계 :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영아기, 출생에서 약 1세)
설명
-성격발달이란 일련의 변환기이며, 이 변환기들은 바람직한 면과 위험한 면의 양분법으로 설명(explanation)된다. 신뢰감이 불신감보다 많아야 위기에 잘 대처할 수 있따 유아는 배가 고프면 어머니가 먹여주고, 또 놀라거나 고통스러울 때 어머니가 자기를 안심시켜 줄 것이라고 믿는다. 자율성이 발달하지 못하면 수치와 회의가 발달하는데 기본적 신뢰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거나 배변훈련이 너무 빠르거나 너무 심할 때 혹은 과잉통제하는 부모 때문에 유아의 의지가 손상될 때 나타난다. 이 주동성은 가동성 신체의 민첩한 언어, 인지, 창조적 상상이 발달함에 따라 뒷받침된다 지배되는 주도성과 죄의식에 이르는 선상의 어느 수준에 정착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에릭슨[E.H.Erikson]의 심리-7221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EC%97%90%EB%A6%AD%EC%8A%A8%5BE.H.Erikson%5D%EC%9D%98%20%EC%8B%AC%EB%A6%AC-7221_01.jpg)
![에릭슨[E.H.Erikson]의 심리-7221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EC%97%90%EB%A6%AD%EC%8A%A8%5BE.H.Erikson%5D%EC%9D%98%20%EC%8B%AC%EB%A6%AC-7221_02_.jpg)



- 이 시기에는 아동들이 크고 힘세고 아름다워 보이는 부모처럼 되고 싶어져서 부모와 동일시하는 것이 주제이다. 그러므로 어머니가 아기의 욕구에 민감하게 reaction response해주고 어머니 자신이 자기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아기를 돌봄으로써 아기에게 신뢰감을 생기게 한다. -출생시부터 미숙하나마 자아가 존재하며, 이 자아가 매 단계의 갈등상황을 중재한다고 봄.
- 유아기의 주요과업은 적당한 비율로 신뢰와 불신감을 획득하는 것이다. 죄의식 외에도 이 시기의 아동은 가치 있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 항상 무엇을 해야하고 항상 경쟁해야 하는 것 같이 느끼는 위험이 있따
-각 인성 特性에는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가 있다
-내적 본능과 욕구, 외적 문화적 사회적 요구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심리사회적 발달탐구
다.
-출생시부터 미숙하나마 자아가 존재하며, 이 자아가 매 단계의 갈등상황을 중재한다고 봄.
제 2단계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소아기,1~3 세)
Download : 에릭슨[E.H.Erikson]의 심리.hwp( 23 )
- 신경과 근육의 발달로 유아는 이 시기가 되면 혼자서 걸을 수 있고 의사를 말로 표현할 수 있고 배변훈련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부모는 유아가 자신감을 잃지 않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을 발달시킬 수 있는 지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아기는 타인이 자기를 받아준다는 믿음과 자기신체의 충동에 차차 익숙해짐으로써 자신에 대한 신뢰를 발달시킨다. 아동은 신체적인 공격으로 타인의 신체에 침입하고 공격적인 언사로 타인의 귀와 마음속으로 들어가고 격렬한 운동으로 공간으로 들어가고, 호기심으로 미지의 세계로 들어간다. -성격발달이란 일련의 변환기이며, 이 변환기들은 바람직한 면과 위험한 면의 양분법으로 설명된다.
에릭슨[E.H.Erikson]의 심리 사회학적 발달理論(이론)
-개인의 창의성, 순응적인 힘으로 자신의 생활양식을 형성해 낼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인정
제 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유아기, 3~6세)
에릭슨,E.H.Erikson,심리 사회학적 발달이론
순서
-내적 본능과 욕구, 외적 문화적 사회적 요구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심리사회적 발달탐구 -개인의 창의성, 순응적인 힘으로 자신의 생활양식을 형성해 낼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인정 -각 인성 특성에는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가 있다. 유아가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독립적이 되면서 부모와의 관계에서나 유아자신의 욕구간에 충동이 일어날수 있따 유아가 자기주장을 하기 처음 하는데 부모는 배변훈련을 포함한 여러 가지 습관훈련을 하기 처음 하므로 부모와 유아사이에 충돌이 일어난다. 이 시기의 기본적 행동양식은 침입이고 주도적이고 목표(goal)를 정하여 추진하고 경쟁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