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론 - 소설의 공간성 비교 (유두, 까치소리, 칼과 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04:04
본문
Download : 현대소설론 - 소설의 공간성 비교 (유두, 까치소리, 칼과 꿈).hwp
<流頭>에서 천방골은 어떤 의미가 부여 되어있을까? 우선, 結論(결론)부터 말하자면 천방골은 인간이 살 수 없는 불모의 저주받은 땅이라는 의미가 부여되어있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물과 얼크러져 싸워 보지만 끝내는 봇둑을 놓쳐 물이 넘치고, 그날 밤에도 도마뱀이 푸른 불을 켜 들고 있었다.
비가 좀 가라앉자 다시 밭으로 나와 옥수수대를 묶지만 비는 다시 퍼붓는다. 앞서서도 말했듯이, 천방골에서 주인공은 할머니, 어머니, 아내의 죽음을 겪었고…(투비컨티뉴드 )
소설 <流頭>, <까치소리>, <칼과 꿈> 각 소설속의 공간성을 분석하고 간단히 비교해봤습니다.
아내가 죽고 그 해 여름, 다시 한번 홍수가 나 이랑마다 기름져 흐르던 논밭이 망가진다. 그리고 주인공 길재에게 늘 시련을 주는 곳이다.
*표상공간
작가에 의해서 의미부여가 된 공간, 주체가 의미부여를 한 공간을 표상공간이라 한다. 문득 집에 혼자 두고 온 아들 `돌이`를 생각하고 뛰어와 보니 `돌이`는 무엇을 먹다가 담 모퉁이로 돌아가 그것을 심는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다.
그들과 함께 마을을 떠나던 `길재`는 `봄만 옴 살구씨가 또 싹이 트겠지?`라고 묻는 `돌이`의 말을 듣고 아들의 마음을 다시 보기 위하여 마을 사람들과 헤어져 천방골로 다시 돌아온다. 천방골의 분위기는 비가 많이 오고, 꽃도 피다 말고, 매양 뜰이 어두웠다는 묘사에서 볼 수 있듯이 어둡고, 음울하다.
*정위공간
이 작품의 배경은 천방골이다.
Download : 현대소설론 - 소설의 공간성 비교 (유두, 까치소리, 칼과 꿈).hwp( 85 )
레포트/감상서평
현대소설유두칼과꿈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현대소설론 - 소설의 공간성 비교 (유두, 까치소리, 칼과 꿈)
순서
소설 <流頭>, <까치소리>, <칼과 꿈> 각 소설속의 공간성을 분석하고 간단히 비교해봤습니다. 그들은 남과 북의 두 갈래 길 앞에서 망설이다가 귀천이 없다는 북쪽으로 발길을 옮긴다.현대소설유두칼과꿈 , 현대소설론 - 소설의 공간성 비교 (유두, 까치소리, 칼과 꿈)감상서평레포트 ,
<流頭>
*정위공간
*표상공간
*공간성
<까치소리>
*줄거리
*정위공간
*표상공간
*공간성
<칼과 꿈>
*줄거리
*공간의 상호침투
*Thiery도형
정리(arrangement)
*줄거리: 자연의 재앙이 끊이지 않는 천방골의 음습한 산그늘에서 `길재`는 할머니, 어머니, 아내의 죽음을 맞았고, 그들이 죽을 때마다 푸른 불 도마뱀의 불길한 조짐을 본다. 즉, 작품 속 배경이 되는 공간을 정위공간이라 보았을 때 이 작품의 정위공간은 천방골이라고 할 수 있다 주인공 길재는 천방골에서 할머니, 어머니, 아내의 죽음을 겪었고, 그곳을 떠나려고 하였지만 다시 되돌아온다.
돌아온 날 밤 역시 도마뱀은 푸른 불을 켜고 있었다.
비를 피해 바위 밑에서 밤을 새운 마을 사람들은 이 불모의 땅을 버리고 떠나자고 한다.